일상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중 하나인 ‘어이없다’.
하지만 종종 ‘어의없다’라는 형태로 잘못 쓰이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.
이 두 표현 중에서 맞는 것은 무엇일까요?
답은 간단합니다.
올바른 표현은 ‘어이없다’이며, ‘어의없다’는 잘못된 표현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둘의 차이와 ‘어이없다’의 정확한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.
어이없다
‘어이없다’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나 당황스러운 일을 겪었을 때 느끼는 황당함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.
이는 국립국어원에서 인정한 표준어로, 일상생활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
- ‘어이’는 ‘당연하게 여기던 상황에서 벗어난 일을 보며 느끼는 놀라움이나 황당함’을 의미합니다.
- 따라서 ‘어이없다’는 놀랍고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말문이 막히는 느낌을 나타냅니다.
예문
- 네가 그런 행동을 했다니 정말 어이없다.
- 친구가 약속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다니 어이없네.
- 게임이 이렇게 끝나다니, 진짜 어이없어서 웃음도 안 나온다.
어의없다
‘어의없다’는 비표준어로, 맞춤법 규정상 잘못된 표현입니다.
- 발음상 ‘어이없다’와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생긴 오타나 잘못된 사용에 불과합니다.
- '어의없다'는 발음을 따라 쓴 잘못된 형태입니다.
‘어의없다’는 틀린 표현이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
올바른 표현: 어이없다
- “네가 이런 실수를 하다니 정말 어이없다.”
- “택시비가 이렇게 비싸다니, 어이없네.”
- “심판의 판정이 잘못됐다고? 정말 어이없는 상황이다.”
잘못된 표현: 어의없다
- “네가 이런 실수를 하다니 정말 어의없다.” (X)
- “택시비가 이렇게 비싸다니, 어의없네.” (X)
- “심판의 판정이 잘못됐다고? 정말 어의없는 상황이다.” (X)
'우리말 맞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돼 안되 헷갈리는 맞춤법 차이 알아보기 (2) | 2024.12.07 |
---|---|
금새 금세 맞춤법 차이 알아보기 (2) | 2024.12.06 |
설거지 설겆이 맞춤법 차이 알아보기 (0) | 2024.12.04 |
어따대고 얻다대고 올바른 표현은? 맞춤법 정리 (0) | 2024.12.03 |
싸여 쌓여 맞춤법 차이 (0) | 2024.12.02 |